본문 바로가기

이미지

전통과 초현대가 공존하는 그곳, '블랙 팬서'




지금 블랙 컬쳐는 쿨하다. ('흑인 문화'보다는 '블랙 컬쳐'가 쿨해 보여서 그렇게 표현한다.)


10년 전까지만 해도 그렇지 않았다. 미국 사회의 감수성을 정확히 알 수는 없으나, 블랙 컬쳐는 쿨하고 쉬크하고 모던한 느낌과는 거리가 멀었다. 블랙 컬쳐는 미국 대중문화의 한 줄기임에는 분명했으나, '주류'라고 보기는 어려웠다. 한국에선 물론이다. 유색인종인 한국인들이 다른 유색인종들을 좋아하지 않는다는 건 비밀도 아니니까. 


분위기가 바뀐 건 힙합의 인기와 맞물린 듯하다. 지금 힙합은 대중음악의 확고부동한 중심 장르다. 현재 가장 인기 있는 오디션 프로그램은 '쇼 미 더 머니'다. 그 서브 컨텐츠인 '언프리티 랩스타'나 '고등래퍼'까지 인기 있으니, 반면 록을 중심으로 한 오디션 프로그램 '탑밴드'는 어땠나. KBS라는 공영방송의 형식적, 감성적 한계가 있긴 했을 것이다. 하지만 '탑밴드'는 한 마디로 '구렸다'. 내가 수십년간 록을 좋아했지만, '탑밴드'를 보면서 구리다고 느낄 수밖에 없었다. 한국의 방송에서 재현되는 록에선 더 이상 신선하거나 세련되거나 쿨한 무언가를 느낄 수 없었다. 음악은 물론이고 인터뷰 방식, 옷매무새까지 모두 마찬가지였다.(그래서 조금 슬펐다)


연휴기간중 '블랙 팬서'를 봤다. 또 마블 영화다. 사실 영화는 기대만큼 좋지는 않았다. 마블의 최근작인 '토르: 라그나로크'의 재치, '닥터 스트레인지'의 시각 효과적 도전이 없었다. 상영시간이 134분에 달하는데 이야기가 꽉 차 있다고 느껴지지 않았다. 하지만 '블랙 팬서'엔 다른 강점이 있다. 흑인 배우가 대부분의 주요 배역을 차지한다. 그것도 미국 바깥 시장에서 그다지 유명하지 않는 배우들이다. 이건 블랙 컬쳐를 다루는 것만으로도 쿨한 콘텐츠를 만들 수 있다는 할리우드 스튜디오의 자신감이다. 


배경은 서부 아프리카에 있다는 가상의 왕국 와칸다. 국제 사회에서는 '세게 최빈국'으로 알려져 있지만, 사실 와칸다는 우주에서 온 금속 비브라늄을 사용해 막대한 부와 첨단 기술을 축적한 국가다. 이곳의 생활수준과 이를 떠받치는 테크놀로지는 동시대 지구 어느 국가도 능가한다. 다만 와칸다는 국제 사회에 자신의 실체를 숨긴 채 자족적인 삶을 즐긴다. 외교적으로 일종의 '고립주의'다. 이들의 고립주의는 나중에 원로와 젊은 세대의 갈등 요소가 된다. 



전통과 초현대가 뒤섞인 '블랙 팬서'의 소품과 의상들. 저 망토를 펼치면 방패가 된다. 


재밌는 건 와칸다가 미래의 테크놀로지를 선취한 나라이면서도, 아프리카의 전통적 이미지(라고 여겨지는 것들)을 여전히 간직한 나라라는 점이다. 와칸다는 왕정 국가이며, 왕위는 부계의 장자가 세습한다. 왕이 되기 위해선 와칸다의 주요한 여러 부족으로부터 동의를 얻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일대일 결투로 완력을 증명해야할 때도 있다. 도전자와의 결투에서 이기면 정당하게 왕위를 이어받는다. 부족의 원로들은 아프리카의 전통 의상을 입고 회의에 참여한다. 와칸다 국왕을 호위하는 무사들은 창을 든 민머리 여인들인데, 이들 역시 전통에 기반한 의상을 입고 있다. 이들은 오히려 총을 미개한 무기라고 여긴다. 왕은 신비한 허브로 만든 약을 마시고 '블랙 팬서'의 초인적인 힘을 얻는다. 이 허브의 성분은 물론 알려져 있지 않다. 전통과 초현대, 첨단 정보통신 기술과 고래로부터 내려온 신비의 영약이 공존하는 곳이 와칸다 왕국이다. 


과거였으면 아시아의 어느 국가에 이런 설정을 넣었을 것이다. 사실 '닥터 스트레인지'나 '배트맨 비긴즈'가 아시아의 어느 지역을 배경으로 그리긴 했다. 하지만 아시아의 한 나라 전체가 이렇게 묘사된 적은 없었다. 그건 이미 20세기 초 세계 열강에 든 일본은 물론, 이후 급속히 발전한 한국과 중국이 더 이상 '신비'한 곳이 아니기 때문일 것이다. 세계 최고 수준의 핸드폰이나 자동차를 만드는 나라에 '신비의 영약'이 남아있을 것 같지는 않다. 이런 나라가 국제 사회에서 꽁꽁 숨어 그들만의 폐쇄적인 공동체를 꾸릴 수 있을 것 같지도 않고. 


'블랙 팬서'는 블랙 컬쳐의 근원인 아프리카의 전통을 '쿨'하게 그리면서도, 아프리카가 처한 저개발의 현실에서 나온 이미지를 교묘히 활용하는 영화다. 그래서 '블랙 팬서'의 시선은 어딘지 이중적이다. 아울러 아직 아시아계 슈퍼히어로는 나타나지 않았다는 점에서, 블랙 컬쳐가 아시안 컬쳐보단 주류가 되었거나 주류에 거의 근접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영화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