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미지

서사가 아니라 감각, '셰이프 오브 워터: 사랑의 모양'



**스포일러 있음. 


'셰이프 오브 워터: 사랑의 모양'은 서사가 아니라 감각의 영화다. 이 영화가 다루는 이야기는 너무 단순해서 쉽게 요약된다. 말 못하는 청소부 엘라이자가 양서류 괴물을 만나 사랑에 빠진다. 끝. 


이야기를 풍성하게 하기 위해 이들의 사랑을 돕거나 방해하는 인물들이 등장한다. 동료 청소부 젤다와 이웃집 게이 화가 자일스가 엘라이자를 돕고, 실험실 보안책임자 스트릭랜드는 엘라이자를 방해한다. 과학자 호프스테틀러 박사는 그 사이에 끼어있다. 여기에 스트릭랜드가 엘라이자에게 추근대는, 약간의 변주를 넣었다. 그래서 엘라이자-괴물-스트릭랜드의 삼각 관계가 조성된다. 하지만 이 관계는 기능적으로 보인다. 스트릭랜드가 엘라이자에게 끌리는 과정이 매끈하지 않을 뿐더러(스트릭랜드가 아내와 섹스하며 아내의 입을 틀어막는 장면, 즉 조용한 여자를 좋아하는 스트릭랜드의 성적 취향이 유일한 단서인데, 좀 뜬금없다), 이 대목은 엘라이자와 스트릭랜드의 대립을 강화하는 '수단을 위한 수단'에 불과했다는 느낌이다.



'괴물' 역의 더그 존스는 양서류를 닮은 피조물로 자주 등장한다. '헬보이' '스타트렉: 디스커버리' 등등. 


마이클 섀넌과 샐리 호킨스의 팽팽한 열연. 



대신 '셰이프 오브 워터'는 감각적 쾌락을 극대화한다. 주인공 엘라이자가 듣기는 하지만 말하진 못하는 장애인이라는 설정이 도움된다. 물소리, 발소리, 차소리, 텔레비전 소리 등이 정교하게 조직되어 있다. (눈을 감고 소리만 들어도 꽤 즐거울 것 같다.) 영미권 작곡가와는 작곡의 결이 다른 알렉산드르 데스플라의 복고적인 음악도 이 소리의 향연에 한몫한다. 엘라이자는 내내 수어로 대화하다가, 종반부의 하이라이트 장면에서 갑자기 노래를 부른다. 고전 할리우드 뮤지컬의 방식으로, 벼르고 별러 찍은 느낌이다. '라라랜드'가 성공하지 못했다면 이런 뮤지컬 장면이 들어갈 수 있었을까 싶다.    


'동화같은 영화'라고 쉽게 말하기엔 표현 수위가 조금 높다. (당연히 청소년관람불가다) 초반에는 엘라이자의 자위 장면, 후반에는 엘라이자와 '괴물' 사이의 이종 섹스 장면이 있다. 후반부로 갈수록 폭력의 수위도 높아진다. 스트릭랜드가 호프스테들러의 총에 맞은 볼 안쪽의 입으로 손가락을 넣어 잡아당기는 장면은 기예르모 델 토로식 잔혹 취미다. (감독 기예르모 델 토로는 얼굴 찢는데 취미가 있는지, '판의 미로' 때는 스페인 파시스트 군인의 볼을 찢은 적이 있다)


엘라이자 역의 샐리 호킨스, 스트릭랜드 역의 마이클 섀넌이 좋은 배우라는 건 말할 필요도 없다. 다만 이들의 연기는 한국 관객, 감독이 좋아하는 방식의 열연처럼 보인다. 아니나 다를까, 섀넌은 박찬욱이 연출하는 BBC 드라마 '리틀 드러머 걸'에 캐스팅됐다. 아울러 샐리 호킨스는 물론 좋은 배우지만, 지명도가 다소 떨어지는 그를 주연으로 삼은건 모험처럼 보인다. 어쩌면 이 영화가 한국 언론 시점에는 블록버스터지만, 미국에선 20세기 폭스가 아니라 그 산하 스튜디오인 폭스 서치라이트가 제작한 1900만달러 제작비의 '저예산 영화'이기 때문에 가능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