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미지

투명성의 지옥 '아논'


***스포일러 있음. 

넷플릭스에서 앤드류 니콜의 '아논'(Anon)을 보다. '아논'이란 '익명'(anonymous)의 줄임말이라는 사실을 이번에 알았다. 니콜은 '가타카'(1997)의 작가, 연출답게 비주얼은 유토피아지만 사는 모양은 디스토피아인 미래 사회를 '아논'에서 그린다. '가타카'가 유전자에 의해 계급이 사실상 결정되는 사회를 그렸다면, '아논'은 보는 모든 것이 기록돼 사생활과 익명성을 보장받기 힘든 사회를 그린다. '아논' 속 사람들은 한때 유행하려다 말았던 구글 글래스를 쓴 듯한 인터페이스 속에서 살아간다. 거리에서 사람을 만나면 그의 이름, 직업 등이 자막으로 나타나고, 노점상의 핫도그를 보면 각각의 이름과 성분이 나타난다. 이런 시각 이미지들은 모두 기록돼, 범죄 수사에 활용되거나 심지어 연인에게 자신의 결백을 증명할 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너 어젯밤 누구하고 있었어? 어젯밤 기록 보여줘"하면 거짓말을 할 수 없다. 

살(클라이브 오웬)은 형사다. 이 사회에서 경찰 노릇 하기란 2018년보다 쉬워보인다. 범죄가 일어났을 당시의 시각 기록을 확인하면 되니까. 예를 들어 살인사건이 발생했다면, 피해자의 시각 기록이 끊기기 전까지를 재생하면 된다. 그리고 이런 영화에서 흔히 그러하듯 연쇄살인사건이 일어난다. 그런데 이번 범인을 잡기 어려운 이유는 피해자의 마지막 시각 기록이 해킹됐기 때문이다. 피해자는 마지막 순간 살인자의 시선으로 자신을 바라보고 있었다. 즉 일부 기록이 삭제되고, 불필요한 기록이 삽입된 채 남겨진 것이다. 살은 사건 배후에 불명예스러운 기록을 삭제해주는 해커가 있으리라고 짐작하고 언더커버에 착수한다. 살은 연인을 두고 매춘부를 부른 증권거래인인 척 해, 해커에게 자신이 매춘부와 접촉한 기록을 삭제해달라고 부탁한다. 살에게 익명의 해커(아만다 사이프리드)가 접촉한다. 

'가타카'는 지금까지도 유전자 조작에 의한 사회 변화를 설명할 때 종종 언급되는 영화다. '유전자 가위' 같은 기술이 키워드가 되면서 '가타카'의 혜안은 더욱 두드러졌다. 그러나 '가타카'는 컨셉을 잘 잡은 영화지, 잘만든 영화라고 보기는 애매하다. 컨셉을 잘 잡는다는 것도 쉽지 않은 일이긴 하지만, 영화로서의 역량이 충분히 드러나진 않았다는 뜻이다. 아마 '가타카'의 시나리오와 미술을 사용해 다른 감독이 연출했다면 더 그럴싸한 영화가 나오지 않았을까 싶다. 



사실 '아논'도 비슷한 느낌이다. '아논'은 제목이 직접적으로 드러내듯, 현대사회의 빅데이터 축적과 투명성, 그로 인한 사생활 침해를 비판적으로 바라본다. 이 사회에서는 모두가 모두에 대해 알 수 있다. 경찰은 간단한 접속 해제 코드로 많은 이들이 본 것을 고스란히 데이터화할 수 있다. 별다른 장치도 필요 없다. 그저 바라보기만 하면 된다. 현대 혹은 근미래 사회를 비판적으로 바라보는데 유용한 설정이지만, '아논'을 이루는 여러 가지 요소들은 이후의 전개를 예측가능하게 만든다. 클라이브 오웬, 아만다 사이프리드 같은 배우가 등장했을 때, 우리는 그들이 은밀하게 만나 쿨하게 일만 하고 헤어질리 없다는 사실을 짐작할 수 있다. 기술을 악용하는 사이코패스 범죄자의 등장도 충분히 예측할 수 있고, 팜므 파탈은 궁극의 범죄자가 아니라는 사실도 100년은 된 클리셰다. '블랙 미러'의 몇몇 에피소드들이 보여주는 아이러니와 반전이 '아논'에는 없다. 배우들은 의도적으로 무표정, 무감정한 연기를 보여주는데, 이는 디스토피아적인 미래를 보여주기보다는 배우의 역량을 제한한다.  

결국 '가타카'처럼, 아논'은 잘만든 영화는 아니면서도 만듦새와 무관하게 종종 언급되는 영화가 될지도 모르겠다. 이런 영화는 영화평론가가 아니라, 사회학자나 IT 칼럼니스트가 더 언급하기 좋은 종류에 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