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미지

지속가능하지 않은 승리와 열정 '보리 vs 매켄로'



야구 영화 본 뒤 야구하고 싶은 적은 없다. 축구 영화 본 뒤 축구하고 싶은 적도 없다. 하지만 '보리 VS 매켄로'를 보고 테니스를 치고 싶어졌다. 파란 잔디가 깔린 윔블던 센터 코트를 부감으로 잡은 초반부부터 그런 생각이 든다. 파란 잔디, 하얀 유니폼, 두 코트를 빠르게 오가는 작고 노란 공... 관중들이 숨죽인 사이, 코트를 때리고 튕겨나가는 공 소리가 경쾌하다. 두 플레이어의 재빠른 발소리와 힘겨운 신음 소리. 나도 잔디 코트에 공을 튀겨보고 싶다. 

오래전에 테니스를 잠시 배운 적이 있다. 운동에 소질있는 편이 아니라 실력이 쑥쑥 늘지는 않았다. 그 와중에 제일 통쾌했던 순간은 역시 서브였다. 포핸드, 백핸드로 공을 제대로 맞혔을 때도 즐거웠지만, 높게 띄운 공을 상대편 코트로 순식간에 꽂아넣었을 때의 쾌감은 대단했다. 네트에 걸리지 않고 금에 걸치지도 않은 공이 코트를 때린 뒤 재빠르게 튕겨나가는 순간의 쾌감에 대해선, '10년 묵은 체증이 내려간다'는 클리셰를 쓸 수밖에 없다.

스포츠 영화에 스포츠 장면을 잘 잡는건 필수다. 하지만 '보리 VS 매켄로'는 테니스 경기만 박진감 넘치게 촬영한 영화는 아니다. 윔블던을 4번 연속 우승한 뒤 다섯 번째 우승에 도전하는 스웨덴의 스타 선수 비외른 보리와, 그에 도전하는 신성 존 매켄로의 1980년 윔블던 결승을 보여주는 동시, 두 선수의 성장기와 개인사를 조금씩 드러낸다. 영화는 두 선수의 극명한 스타일 차이를 대비해 보여준다. 매켄로는 알려져있다시피 '악동'이다. 판정에 납득할 수 없으면 심판에게 막말을 하며 대들고, 때로 관중하고도 싸운다. 관중은 그런 매켄로에게 야유를 퍼붓지만, 매켄로는 개의치 않는 것 같다. 반대로 보리는 '미스터 아이스'다. 경기 중 어떠한 감정도 드러내지 않고, 인터뷰로 대중과 만날 기회에서도 마찬가지다. 원론적인 답변을 하고, 상대 선수를 칭찬한다. 보리는 록스타같은 인기를 누린다. 



달라 보이지만, 사실 둘은 비슷하기도 하다. 둘 모두 강박적으로 이기고 싶어하고, 이기지 못했을 때는 터져나갈 듯 분노한다는 점에서 그렇다. 보리 역시 청소년기에는 매켄로와 다르지 않았다. 하지만 '신사적인 스포츠'임을 자부하는 테니스계는 보리의 불같은 성격을 용납하지 않았고, 보리는 이기기 위해선 분노를 감춰야 한다는 사실을 꺠달았다. 물론 보리의 화는 감춘다고 사라지지 않는다. 코트 위에서, 대중 앞에서 차갑게 감추었을 뿐, 보리는 내면에선 여전히 불같은 사람이다. 가끔 바깥으로 넘실거리는 보리의 불꽃은 주변 사람을 괴롭게 한다. 약혼자에게 상처를 주고, 오랜 기간 함께한 코치를 갑작스럽게 해고하게 만든다. 

이기는 걸 너무나 좋아하고, 이기지 못하면 자신을 괴롭히는 사람. 그런 사람이 결국 성과를 낸다. 스포츠에서 더더욱 그럴 것이다. 요즘 스포츠 선수의 팬 서비스에 대해 이런 저런 얘기들을 하지만, 최고의 팬서비스는 역시 승리다. 그런 점에서 보리와 매켄로는 최고의 선수이자 최고의 팬서비스를 제공한 엔터테이너였다. 그래서 선수들 본인이 행복한지는 알 수 없지만. 

아마 별로 행복하지 않았던 것 같다. 영화 상영후 나오는 자막에 따르면, 보리는 영화 배경으로부터 1년 뒤인 81년 윔블던 결승에서 매켄로에 패배했다. 그리고 얼마뒤 은퇴했다. 불과 26세의 나이였다. 자신을 갉아먹으면서까지 승리를 추구하는 방식은 지속가능하지 않았던 것이다. 많은 스포츠 영화, 만화에 나온 주인공처럼, 보리는 짧은 순간 모든 걸 불태운 사람이었던 것 같다. '내일의 조' 식의 '완전연소'. 

보리 역의 스웨덴 배우 스베리르 구드나슨과 매켄로 역의 샤이어 라보프는 모두 잘한다. 구드나슨은 1978년생 배우인데, 이번에 처음 알아봤다. 스웨덴 배우가 비외른 보리 역을 연기한다는 건, 한국 여배우가 수십년 뒤 김연아를 연기하는 것 비슷한 심정일까. 라보프는 종종 이상한 행동을 하더니, 역시 이상한 사람 연기를 잘한다. 그에게 계속 이상한 역을 맡겨줬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