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텍스트

난삽하지만 신랄하고 철저하고 까끌까끌한, '유령퇴장'


타계를 추모하는 혼자만의 의식으로 필립 로스의 2007년작 <유령 퇴장>(문학동네)을 뒤늦게 읽다. 국내에는 2014년 출간됐는데, 언젠가 입수했다가 회사 책상 앞 책꽂이에 꽂아놓은 뒤 읽지 않고 두었다. 알다시피, 책은 한 번 읽을 시기를 놓치면 한참을 기다려야 한다. 로스의 책을 몇 권 읽어나갔을 때 <유령 퇴장>은 제 순서를 맞이하지 못했다. 그러다가 난 로스의 책에 조금 지쳤고, 그렇게 <유령 퇴장>을 방치했다. 그래도 책을 치워버리지는 않아서 몇 번 자리를 옮기면서도 줄곧 눈에 보이는 책꽂이에 꽂아두었다. 그 사이 <유령 퇴장>은 100년전부터 거기 있었던 정물처럼 놓여있었다.


'나'는 70대의 유대계 미국 소설가 네이선 주커먼이다. 주커먼은 1974년 로스의 책에 처음 나온 뒤, <유령 퇴장>까지 모두 9번 등장했다. <미국의 목가> <휴먼 스테인> 등 로스의 대표작이 그 9편에 속한다. <유령 퇴장>은 주커먼이 등장한 마지막 책이다.  주커먼은 로스의 '소설적 자아'라 할 수 있다. 


필립 로스(1933~2018)


<유령 퇴장>에서 주커먼은 11년간 은둔해있던 버크셔 산골을 떠나 뉴욕으로 온다. 전립선암의 후유증인 요실금을 치료하기 위해서다. 로스의 다른 책을 읽었다면 쉽게 짐작할 수 있겠지만, 병이 깨끗이 낫고 오랜만의 도시 나들이에서 새로운 활력을 얻고 시골로 평화롭게 돌아가 다시 멋진 소설을 쓰는 식으로 이야기가 전개되진 않는다. 의사의 장담에도 불구하고 오줌은 계속 새어나와 안전 팬티 속을 가득 채운다. 늙은 주커먼을 괴롭게하는 건 육체의 쇠락만이 아니다. 주커먼은 여러가지 혼란한 사건과 맞딱드린다. 존경하는 선배 작가 로노프의 연인으로 한때 자신도 마음에 두었던 에이미가 뇌종양 수술을 받아 머리카락이 절반은 없는 가난한 노파가 된 모습을 목격한다. 주커먼은 충동적으로 1년간 집을 바꿔 살기로 한 작가 지망생 부부를 만나는데, 그중 아내 제이미에게 주체할 수 없는 욕망을 느낀다. 주커먼은 이미 여성과의 육체적 사랑을 할 수 없는 처지임에도 말이다. 가장 큰 난관은 로노프의 전기를 쓰겠다고 달려드는 젊은 저널리스트 클리먼이다. 클리먼은 에너지가 넘치는, 하지만 무례하기 짝이 없는, 야심만만한, 하지만 야심을 점잖치 않게 발산하는 남자다. 클리먼은 거의 잊혀진 로노프의 삶과 문학을 다시 미국인의 정신사적 궤적 속으로 돌려놓겠다는 포부를 밝히지만, 이를 위해선 죽은 로노프의 명예가 훼손되고 주변 사람들의 고통이 수반되어야 한다. 주커먼은 클리먼을 막기 위해 모든 일을 하겠다고 다짐하지만, 이미 주커먼에겐 그럴만한 기력이 없다. 

주커먼은 정체를 알 수 없는 반유대적인 협박 메시지 때문에 시골로 도피한 것으로 되어있다. 협박이 멈추었다면 뉴욕으로 돌아와야겠지만, 주커먼은 그러지 않았다. 대신 철저한 은둔과 사회로부터의 망각을 택했다. 아니, 주커먼이 먼저 사회를 망각했다. 대중은 빠른 사회의 변화에 일희일비하겠지만, 오랜 세월 미국을 지켜본 주커먼은 다르게 생각한다. 

"내가 견딜 수도 없고 바꿀 힘도 없는 모든 일에 대해 아예 귀를 닫기 위해서가 아니었다면, 달리 무슨 이유로 내가 신문을 읽고 뉴스를 듣고 텔레비전을 보는 걸 포기했겠는가? 나는 더는 실망으로 곤두박칠 일이 없는 곳에서 살기로 선택했던 것이다."

우리는 너무 많은 일을 겪는다. 어제의 뉴스가 오늘의 뉴스로 잊혀지고, 오늘의 뉴스는 또 내일 잊혀진다. 처음 들었을 땐 충격적인데, 하루 지나면 최초의 충격도 사라진다. 그리고 그 모든 일들이 결국은 조금씩 형태를 달리해 반복되고 있음을 깨닫는다. 제이미 부부는 아들 부시의 당선에 분노하고 좌절하지만, 주커먼은 그러지 않는다. 그의 지친 눈빛은 모든 일들을 담담히 받아들인다. 

"예전 같으면 그런 파당 정치의 대립을 지켜보면서 초연할 수 없었겠지만, 거의 한 세기의 4분의 3에 이르는 세월을 미국이라는 나라에 홀린 채 살고 나니, 더는 사 년마다 어린애 같은 감정에 사로잡히지 않아야겠다고 작정하게 되었다. 어린애 같은 감정과 어른의 고통에 말이다."

역시 신랄한 대목은 쇠락한 육체에 대한 묘사다. 로스는 74세에 집필한 이 소설에서 한때 쓸만했을 듯한, 하지만 지금은 볼품없어진 주커먼의 성기를 아래처럼 묘사한다. 주커먼은 40세 연하의 여성 제이미를 만나러 가는 길이다. 아마 에너지가 정신과 육체에 두루 뻗쳐있던 시절을 경험한 사람만이 이런 실망감을 표현할 수 있겠지. 

"한때는 건장한 성인 남성의 성기가 달려 있던, 방광조임근도 완벽하게 제어되고 충분히 제 기능을 다하던 성기가 달려 있던 두 다리 사이에 이제는 쭈글거리는 살덩어리에 불과한 수도꼭지를 달고 있는 남자에게는 결코 무해할 리 없는 절망적인 사랑이 열병이 휘두르는 무자비함에 즉시 굴복한 채. 한때는 단단한 생식기였던 그것은 이제, 저 어딘가에 삐죽 튀어나와 우리 눈에 띄는 파이프의 끄트머리, 어느날 누가 밸브를 한 바퀴 더 조여 빌어먹을 물줄기를 완전히 잠가야 한다는 걸 기억해낼 때까지 물을 질질 흘리는, 종종 왈칵 뿜기도 하고 콸콸 쏟아내기도 하는 아무 의미 없는 파이프 한 토막이나 마찬가지였다."


<유령 퇴장>은 <에브리맨> <휴먼 스테인> <울분>처럼 서사에 몰입할 수 있는 책은 아니다. 오히려 실험적인 기법과 작가의 분신과도 같은 주커먼의 생각들이 불쑥불쑥 끼어들어 난삽하다는 느낌까지 주는 책이다. 물론 그 난삽함이란 '노인의 현명함'과는 거리가 먼듯한, 오히려 '노인의 자기혐오'라 부르는 편이 좋을 듯한, 하지만 정말 신랄하고 철저하고 까끌까끌해서 책을 읽어나가기 아슬아슬해지는 생각과 감정의 조각들의 모음이다. 로스의 명복을 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