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커런트 이슈

안티고네 혹은 사제의 일

아이스퀼로스, 소포클레스, 에우리피데스 등 3대 그리스 비극작가의 작품 6편이 선별 수록된 <그리스 비극 걸작선>(천병희 역/숲) 중에서 가장 마음을 움직인 것은 소포클레스의 <안티고네>였다. 기원전 441년쯤 집필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 작품은 오이디푸스 사후의 일을 다룬다. 오이디푸스의 두 아들 에테오클레스와 폴뤼네이케스는 왕권을 두고 다투었는데, 이 과정에서 폴뤼네이케스는 적국을 끌어들였다. 결국 형제는 전장에서 모두 죽고, 크레온이 새 왕으로 등극한다. 크레온은 에테오클레스에게는 성대히 장례를 치러주되, 조국을 배신한 폴뤼네이케스의 시신은 들짐승과 날짐승이 먹어치우도록 내버려두라고 명한다. 그러나 안티고네는 왕의 명령을 거역하고 친오빠의 시신을 장사 지낸다. 크레온은 왕명을 어긴 안티고네에게 분노하고 처형을 명한다. 


명색이 '고대'라 분류되지만, <안티고네>를 보면 당시에도 국가 권력은 꽤나 강력했던 것으로 보인다. '국가=왕'인 전제군주 시대였지만, 크레온은 안티고네가 자신의 뜻을 여긴 것만큼 국가의 반역자를 도왔다는 점을 괘씸하게 생각한다. 끌려온 안티고네는 왕의 추궁에 당당히 답한다. 


안티고네 "제 혈족을 존중하는 것은 결코 수치스러운 일이 아니에요."

크레온    "그자(폴뤼네이케스)와 맞서 싸우다가 전사한 분(에테오클레스)도 네 혈족이 아니더냐?"

안티고네 "같은 어머니와 같은 아버지에게서 태어난 혈족이지요."
크레온    "그렇다면 너는 왜 그자에게 호의를 베풀어 그분을 모욕하지?"

안티고네 "세상을 떠나신 분은 그렇다고 시인하지 않을 거예요."

크레온    "네가 그 불경한 자를 그분과 똑같이 존중하는데도?"

안티고네 "세상을 떠나신 분은 그분의 노예가 아니라 아우예요."

크레온    "그자는 이 나라를 유린하다가, 그분은 지키다가 전사했다."

안티고네 "아무튼 하데스는 그런 의식을 요구해요."

크레온    "그래도 착한 이에게 나쁜 자와 같은 몫이 주어져서는 안 되지."

안티고네 "하계에서는 그것이 신성한 규칙인지 누가 알아요?"

크레온    "적은 죽어도 친구가 안 되는 법이지."

안티고네 "나는 서로 미워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서로 사랑하려고 태어났어요."


크레온은 왕의 명령, 국가의 질서, 이승의 규칙을 강조한다. 이곳에선 조국의 반역자를 기려서는 안된다. 선과 악의 구분이 명확하고, 각자에겐 응분의 보상과 징벌이 따라야 한다. 물론 그 선악이란 국가에 얼마나 충성했는지에 달려 있다. 반역자나 적은 죽어서도 친구로 삼을 수 없다. 이곳은 그런 곳이다. 


안티고네는 세상의 법을 따를 생각이 없다. 조국을 배신한 자일지라도 그와의 핏줄은 하늘이 맺어줬다. 안티고네는 세속의 선악 기준조차 믿지 않는다. 인간이 '악'으로 규정하는 행동이 신이 보기에도 '악'일까. 인간의 법, 규칙, 명령을 어기거나 그에 대해 다른 생각을 가졌다고 해서 그것을 이유로 증오할 이유는 없다고 생각한다. 안티고네는 미워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사랑하기 위해 태어났기 때문이다. 



 폴뤼네이케스의 시신 앞에 선 안티고네. 니키포로스 리트라스 작. 


세속의 법 대신 천상의 질서에 복무하는 사람들을 우리는 사제라고 부른다. 안티고네의 행동은 사제의 한 역할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천상의 질서를 따르는 과정에서 지상의 법을 어길 경우도 있다. 그래도 사제라면 지상의 법을 어기길 두려워해서는 안된다. 한 나라의 사람 모두가 그를 기이하게 여긴다 하더라도, 사제는 세상의 시선이 아니라 천상의 명령을 따라야 한다. 


이슬람권의 몇몇 국가를 제외한다면 현대 민주주의 국가는 세속주의를 따르고 정교분리 원칙을 지킨다. 보편의 여론을 어기면서까지 신의 말씀을 따르겠다고 나서는 사제가 있다면, 세상 사람들을 그를 광신자라 부를 것이다. 광신자에게 세상을 흔들만큼 강한 수단이 주어졌을 때 사회는 혼란에 빠진다. 옴진리교의 사린 가스 테러가 한 사례다. "지금 세상은 썩었기에, 새 세상을 열기 위해선 이 세상을 멸해야 한다"는 주장을 펴는 사제가 있다면, 국가는 그를 요주의 인물로 여길 것이다. 옴진리교처럼 테러라도 계획한다면, 국가는 그들을 탄압할 것이다. 


그러나 정교분리의 원칙이란 것이, 세상에 무슨 일이 일어나도 '오불관언'하라는 뜻은 아닐 것이다. 구약의 선지자들은 노골적으로 정치에 개입했다. 히틀러 암살을 시도한 목사도 있었다. 그는 "미친 운전기사가 버스를 몰고 있을 때 기독교인의 본분은 그 버스에 치어 죽은 사람의 장례를 치러주고 기도를 올리는 것이 아니라 그 운전기사를 끌어내리는 것"이라고 비유한 적이 있다. 


기실 영혼의 평화와 사회의 정의는 분리돼 생각할 수 없다. 불의로 가득찬 세상에서 제 영혼의 평화만을 추구하는 종교인이 있다면, 그 영혼은 순수한게 아니라 마비된 것이다. 


세상의 잘못을 지적하는 사제에게 '정교분리' 운운하는 사람들이 있다. 물론 사제가 잘못 생각했을 지도 모른다. 사제의 말이 보편의 생각을 거슬렀을수도 있다. 나 역시 현 정권을 '제2의 유신'이라거나 '독재정부'라고 부르고 싶지는 않다. 그러나 한 사제의 인식보다 더 큰 문제는, 이런 비판에 대해 "묵과하지 않겠다"고 답하는 지도자에게 있으며, 진정 정교분리의 원칙을 어긴 이들은 지난 정권 당시 권력자에게 빌붙어 영향력을 행사하려한 대형 교회 사람들이다. 


안티고네는 처형됐다. 그리고 그 처형은 줄줄이 또다른 비극을 불러왔다. 안티고네에겐 군대도, 돈도 없었다. 그저 혈육을 장사 지내려는 마음밖에 없었다. 한국의 늙은 사제에겐 무엇이 있을까. 그리고 대통령에겐 없는 것이 무엇일까. 모든 것을 가진 권력자가 아무 것도 없는 사제를 윽박지르는 풍경은 늦가을처럼 스산하다. 


 


 



 

'커런트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지성의 무릎  (2) 2014.05.14
슬픔의 100가지 방식  (0) 2014.04.27
함께 울어야 할 시간  (0) 2014.04.19
상식의 하한선  (4) 2014.03.17
왜 헬기는 안개 속으로 날아갔는가  (2) 2013.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