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미지

서촌에서 '장난질'을 목격하다



태고 적에 수성동 계곡 부근을 산책하다가 이런 걸 목격했더랬다. 


이런 장난.



또 이런 장난. 


준법 정신이 투철한 시민이었다면 차선에 장난을 치거나 조상님들이 노니신 바위에 불경스럽게도 나체의 인간을 얹어두는 풍경에 대노하여 당장 관공서에 신고를 했겠지만, 난 천성이 게을러 그냥 사진만 찍고 넘겨두었다. 그런데 알고보니 이 행위들이 다 누군가의 철저한 계획 아래 이루어진 것이었으니. 이 계획에 포함된 한 관계자는 내가 페이스북에 올린 이 사진을 보고 마치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라고 외치지 못한 그 이발사처럼 속으로 끙끙 앓기도 하고 또 자신의 계략이 맞아떨어진 것을 알고 쾌재를 부르기도 하고 아마 그랬다.  


문화부로 전입온 뒤, 그 간악한 계획의 전모를 파악하고 아래와 같은 기사를 작성하기에 이르렀다. 덕분에 후덥지근한 날의 오후에 서촌 구석을 이리저리 해맸다. 아래 사진, 기사와 함께 나의 노고를 떠올려보자. 







 






조선시대엔 중인들이 모여 살았고, 근·현대엔 문인들이 거닐던 서촌은 이제 강북에서도 가장 ‘뜨거운’ 곳이다. 지금 서촌은 옛날식 세탁소와 아기자기한 공방과 근사한 맛집이 한 골목에 공존하는, 서울에서 보기 드문 정취를 간직한 곳이기 때문이다. 


몇 달 전부터 서촌 골목이 살짝 달라졌다. 한밤에 잠시 들른 취객은 아무 변화도 눈치채지 못했겠지만, 눈밝은 이들은 좁다란 골목길을 거닐며 희한한 것들을 목격했다. 


서울문화재단이 진행하는 공공미술 프로젝트의 일환인 ‘거리 메이크업’은 “서울의 오래된 골목을 갤러리로 바꾸는 사업”이다. 지하철 3호선 경복궁역 2번 출구에서 나와 금천교 시장으로 들어서면 게릴라성 미술품들의 숨바꼭질이 시작된다. 밤이 되면 떠들석한 먹자골목으로 변하는 시장통 곳곳에 재치있는 벽화들이 그려져있다. 오래된 술집의 벽면을 타고 오른 나뭇가지 옆에 새 이파리가 돋은 듯 그려져있다. 삼겹살 냄새가 빠져나오는 배기구에는 붉은 손가락 하나가 삐죽 나와있고, 낡은 수도관은 초록색 뱀으로 변신했다. 샛길에는 검은 실루엣으로 처리된 꼬마가 취객이라도 되는양 오줌을 눈다. 


번잡한 시장을 빠져나와 길을 건너니 배화여대 가는 길이 나온다. 행정구역상으로는 필운대로 1길이다. ‘대로’라는 명칭에 걸맞지 않게 고즈넉한 이 길에도 게릴라 작가들은 유머 넘치는 작품들을 곳곳에 숨겨두었다. 매동 초등학교 앞의 ‘인왕산 등반도’는 이번 프로젝트의 하이라이트다. 회색빛 시멘트가 덧칠된 담벼락 밑부분을 인왕산으로 삼아 그 위로 오르는 작은 사람들을 그린 ‘인왕산 등반도’는 가로 5m, 세로 1.5m에 달하는 ‘대작’이다. ‘인왕산 등반도’가 없었다면 이 담벼락은 보수나 환경미화가 필요한 애물단지였을 것이다. 


작품들은 필운대로, 자하문로를 거쳐 겸재 정선의 그림으로도 재현된 수성동 계곡에까지 곳곳에 흩어져있다. ‘인왕산 등반도’나 개인주택의 담을 전면적으로 활용한 ‘잠자는 거인’ 같이 큰 작품들도 있지만, 왠만한 관찰력과 세심함 없이는 찾기 어려운 소품들도 많다. 대부분 벽, 전선, 맨홀 뚜껑, 배관 등 기존의 지형지물을 활용했다. 눈동자 두 개를 그리거나 붙여 사물을 의인화한 작품을 가장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딱 눈동자 두 개로 무심히 지나치던 소화전, 우체통, 교통 원뿔에는 표정이 생겼다. 어떤 작품은 워낙 간단한 아이디어로 제작돼 ‘이것도 작품인가?’라는 의문을 품는 시민도 있겠지만, 그런 반응이야말로 ‘재미난 일탈’에 어울린다. 서민의 평범한 일상이 펼쳐지는 골목에 문화의 향기를 불어넣는 동시, 미술에 대한 문턱을 낮추는 것이 작가들의 목표다. 


‘거리 메이크업’은 지난해 북촌에서 처음 진행됐다. 당시엔 50여개 작품들이 설치됐는데 반응이 좋아 이번에는 200여개로 늘였다. 덕분에 프로젝트 담당자조차 작품이 있는지 모른채 지나치는 경우가 있다. 모든 작품을 찾은 시민이 있다면 그 눈썰미는 가상하다. 


북촌 프로젝트와 서촌 프로젝트에 모두 참여한 환경미술가 이구영 작가(46)는 “양반 주거지역이었던 북촌과 달리 서촌은 평민들이 주로 살았던 곳”이라며 “서촌은 지금도 하루가 다르게 갤러리, 공방이 들어서는 등 ‘우리 동네’ 같으면서도 살아있는 공간”이라고 설명했다. 


이 작가는 “틈새에 있는 작품이 많아 처음에는 찾기가 쉽지 않지만, 조금만 상상력을 발동하면 별세계가 펼쳐질 것”이라고 말했다. 낡아서 사이가 벌어진 쇠파이프 틈새에 숨은 꼬마요정이 대표적 사례다. 지금도 새 상점이 들어오고 리모델링이 이뤄지는 등 수시로 변하는 곳이어서 작품들이 언제 어떤 방식으로 없어지거나 훼손될지 모른다. 하지만 이 작가는 “작가 입장에선 ‘아껴달라’고 말하고 싶지만 소멸, 훼손은 게릴라 미술이 인정해야 하는 현실”이라며 “시민들이 골목 사이에 숨은 이야기, 위트를 스스로 찾아낼 수 있다면 만족한다”고 말했다. 


서울문화재단은 시민들이 직접 골목화가가 돼 자신의 거주지역을 꾸밀 수 있도록 돕는 미술도구키트도 제공한다. 도시게릴라프로젝트 홈페이지(www.sfac.or.kr/guerrilla)에서 서촌 일대 미술작품을 관람하고 미술도구키트도 신청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