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텍스트

히트 예감! '종이 동물원'


'중국계 미국인 SF 작가'를 말할 때 당연히 떠올리는 사람은 영화 '컨택트'의 원작자 테드 창이다. 하지만 이제 떠올리는 사람을 바꿔야할지 모른다. '종이 동물원'(황금가지)의 켄 리우다. 

예전에 테드 창의 단편집을 읽었을 때도 불만이 좀 있었다. '이건 보르헤스가 7쪽 정도로 쓸 글을 50쪽으로 늘려놓은 것 아닌가?' 사변이나 아이디어는 뛰어나지만, 그것을 풀어나가는 방식에선 삐걱대는 관절 소리가 들린다고 생각했다. 켄 리우는 다르다. 아이디어가 재미있고, 그걸 능숙한 이야기로 풀어낸다. 때론 너무 능숙해 '반칙'이란 생각도 든다. 표제작 '종이 동물원'이 그런 느낌이다. 낯선 땅, 낯선 언어 속에서 살아가는 이민자 어머니를 무시하고 멀리하다가, 뒤늦게 어머니의 사랑을 깨닫는 주인공. 이런 이야기를 읽고 울컥하는 감정을 느끼지 않을 도리가 없지 않은가. '불쌍한 엄마' 이야기를 자주 쓰면 안된다. 동화 속 주인공이 궁지에 몰렸을 때 꺼내드는 비밀 주머니처럼, 프로페셔널한 작가라면 평생 단 한 번만 써야 하는 것 아닐까. 

그런 점에서 '종이 동물원'은 재미있지만 조금 미심쩍었다면, 이어지는 단편들은 훌륭하다. 예를 들어 '레귤러'는 퇴직한 중국계 여성 경찰이 주인공이다. 이 시대에는 '레귤레이터'라 불리는 장치가 개발돼 있다. 이는 중추 신경 어딘가에 이식하는 장치로, 감정적인 반응을 조절한다. 그러므로 경찰, 판사 등 감정에 휩쓸리지 않고 냉정한 이성으로 일을 처리해야 하는 이들이 필수적으로 이식해야 하는 장치다. 특정 직업군의 사람에게 분명 도움이 되는 미래의 가상 기계 장치지만, 작가는 이를 역으로 인물의 단점, 소설의 소재로 활용한다. 레귤레이터로 가질 수 있는 능력의 양가적 면모를 모두 드러냄으로써 작품 전체를 쥐락펴락한다. 깊이 있는 소설은 아니지만, 잘 읽히는 소설이다. 작가가 이 주인공을 향후 장편에 재등장시킬지 모른다는 예감이 들게 한다. 

'고급 지적 생물종의 책 만들기 습성'이나 '상급 독자를 위한 비교 인지 그림책' '파'는 조금 더 사변적인 소설이다. 생명체의 존재 양상, 인지의 다양한 방법 등에 대해 여러 가지 가능성을 살핀다. 순수한 지적 즐거움을 위한 소설이다. 반면 역사에 뿌리 박은 단편도 꽤 있다. '파자점술사'는 미국의 반공정책이 현대 대만에 미친 비극, '역사에 종지부를 찍은 사람들'은 731부대와 위안부 문제를 다룬다. '태평양 횡단 터널 약사'는 인종주의와 제국주의와 뉴딜 정책에 대한 대체 역사 소설이다. 일본이 전쟁을 일으키는 대신 미국과 일본, 중국을 잇는 태평양 횡단 지하 터널을 제안하고, 이에 따라 2차 대전이 일어나지 않은 상황을 가정한다. 물론 전쟁은 없었지만, 일본의 제국주의적 착취는 그대로였고, 공산주의자 포로들과 식민지의 징용인들, 위안부들에 대한 인권 유린은 2차 대전이라는 분기점에 의해 드러나지 않은 채 그대로 묻혔다. '모노노아와레'는 애상에 젖은 일본적 미의식과 우주 공간에서의 영웅적 희생을 정밀하게 교차했는데, 하이쿠처럼 어느 한 부분 빼기 힘든 꽉 짜여진 소설이다. 켄 리우의 단편 선집과 장편이 조만간 나온다고 한다. 꾸준히 살필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