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영화로도 제작된 '서던 리치' 시리즈 1권 '소멸의 땅'을 읽다가 '뉴 위어드'라는 장르 이름을 알게 됐다. SF의 하위 장르라고 하는데, 그냥 '위어드'의 원조는 러브크래프트라고 한다. 그러니 '뉴 위어드' 분위기가 대략 짐작이 됐다. 호러 같다가 판타지 같다가 SF 요소도 있는, 밑도 끝도 없는 이야기 같지만 읽다 보면 끌리는, 그런 이야기인 것으로 마음대로 생각했다.
내친 김에 '뉴 위어드'를 더 읽어보기로 했다. '서던 리치'의 제프 밴더미어와 함께 차이나 미에빌이 최근의 대표적 작가라고 한다. 그의 '이중도시'(아작)를 찾아 읽었다. 미에빌은 특이하게도 케임브리지대에서 사회인류학을 공부했고, 런던정경대에서 국제학 박사학위를 받은 작가다. 톨킨류의 권선징악적 판타지에 대한 혐오를 여러 차례 표현했고, 소설이 길기로도 유명하다고 한다. '이중도시'는 다행히 한 권이지만, 그래도 576쪽에 이른다.
원제는 'The City and The City'다. '이중도시'라는 번역제목은 고심을 거듭한 결과로 보여 정확한 것 같다가도, 소설의 미묘한 느낌을 못살렸다는 느낌도 든다. 왜냐하면 '이중도시'는 경찰, 테러리스트, 범죄조직이 등장하는 경찰 스릴러 구조를 갖고 있지만, 책의 주인공은 사람이 아니라 도시 자체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베셀, 울코마라는 두 가상의 도시를 배경으로 이야기가 전개되는데, 이 도시의 존재 양상이 말못하게 이상하다. 이 도시의 기묘한 개념을 살리는 것이 '이중도시' 번역의 목표이며, 이 도시 설정에서 재미를 느껴야 책을 읽는 재미도 있다. 캐릭터나 서사는 도시 개념 자체만큼 흥미롭게 직조되지는 않았다. 그런 점에서 책이 다소 길다는 생각도 든다. 개념 설정이 가장 중요하다면, 그 개념을 보여주는 것으로 충분하니까. 예전에 테드 창의 단편들을 읽으며 보르헤스 소설을 10배로 늘린 것 같다는 생각을 한 적이 있는데, '이중도시'는 보르헤스의 소설을 100배쯤 늘린 책처럼 읽히기도 한다.
베셀과 울코마는 가상 도시지만, 파리, 뉴욕 등의 지명, 맥도날드 같은 상품명도 나오는 것으로 봐서 '이중도시'는 일종의 평행세계를 다룬다. 베셀과 울코마는 인접 도시이자 과거 적대한 적이 있어 서로 앙심을 품은 도시인데, 이런 설명으론 충분치 않다. 왜냐하면 베셀과 울코마는 공간을 공유하기 때문이다. 처음 읽으면서는 설정이 너무 이상해 같은 공간에서 유령처럼 두 도시가 겹쳐있다는 의미인줄 알았는데, 그렇지는 않고 두 도시의 물리적 공간이 겹치는 부분이 있다는 설정이다. 쉽게 말해 앞마당은 베셀인데 뒤에 붙은 집은 울코마이고, 카페는 베셀인데 바로 옆의 관공서는 울코마다. 여기까지라면 그럴 수 있는데 웃긴건 이 두 도시가 서로를 못본채 하며 살아간다는 점이다. 베셀과 울코마 사람들은 어린 시절부터 '안보는' 교육을 받는다. 베셀 사람이 길을 걷다가 울코마 사람을 만날 수 있는데, 그럴 조짐이 있으면 안보고 지나간다. 이런 훈련이 잘 돼있어 어느 순간 두 도시의 사람들은 상대의 존재를 의식하지 못하고 살아간다. 같은 도로를 달려도 베셀 차와 울코마 차는 세심하게 서로를 피한다. 두 도시를 이동하는 방법이 있긴 하다. 검문소가 위치한 어느 터널에 가서 출국 절차를 밟아야 한다. 그렇게 출국 절차를 밟은 뒤 입국한 곳이 원래 자기가 사는 동네 주변일 수도 있다. 하지만 그는 법적, 심리적으로 이미 타국에 있기에, 한발만 내딛어도 들어설 수 있는 자기 동네에 갈 수가 없다. 만일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상대 도시 영역에 들어간다면? 두 도시의 '침범' 행위를 감시하는 '침범국' 요원들이 나타나 그를 체포한다. 침범국은 양 도시 경찰의 힘을 뛰어넘은, 무소불위의 권력 기관으로 그려진다. '이중도시'의 얼개는 베셀 경찰인 주인공이 두 도시에 모두 연루된 살인사건을 침범국에 넘기려다 실패하고, 결국 베셀과 울코마를 오가며 직접 사건을 수사하는 과정이다.
서구의 많은 독자들은 '이중도시'를 기독교 문명과 이슬람 문명의 갈등, 에루살렘 같은 도시에 대한 은유로 해석하는 모양이다. 듣고 보니 그럴듯하다. 하지만 미에빌은 소설 뒤편에 실린 인터뷰에서 이와 같은 독해시도를 거부한다.
"어떤 이야기가 정말로 무언가 다른 뜻을 전달하기 위해서 만들어졌다면, 그리고 그 다른 뜻이란 걸 아주 직설적으로 완벽하게 함축할 수 있다면, 그냥 그걸 말해버리면 됩니다. 소설이란 건 에둘러 표현하며 넘치게 포장할 수도 있고 독특함을 부여할 수도 있기 떄문에 흥미로운 겁니다. 소설을 우화로 해독하는 행위는 이야기에서 너무 많은 것을 끌어내려 하기 때문에 문제가 되는 것이 아니라, 이야기 안에서 너무 적은 걸 읽어내기 때문에 문제가 됩니다."
어떤 점에서는 소설보다 인터뷰가 더 재미있었다.
'텍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러디와 통찰 사이, '생명창조자의 율법' (0) | 2018.11.28 |
---|---|
문화혁명과 SF의 상상력 '삼체' (0) | 2018.11.16 |
'너는 여기에 없었다' 소설과 영화의 차이 (0) | 2018.10.15 |
비 오는 밤의 꿈같은 인생, '나, 제왕의 생애' (0) | 2018.10.11 |
앞선 문명으로부터 뒤처진 문명에게,'중력의 임무' (0) | 2018.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