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관을 앞두고 학술대회를 연 광주 아시아문화전당에 다녀왔다. 사실 만족스럽지 않은 출장이었다. 나 자신의 부족함과 통제불가능한 변수 때문에 취재를 원활히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며칠전 개통된 KTX를 타고 재빨리 올라오면서도 마음이 불편했다.
그래도 베네딕트 앤더슨의 기조강연은 괜찮았다. 우리는 그를 30여년전 나온 <상상의 공동체>의 저자로만 기억하지만, 앤더슨은 그 이후에도 꾸준히 자신의 이론을 수정, 보완해 왔다는 사실을 느낄 수 있었다. 그는 몇 가지 흥미로운, 그래서 앞으로 규명해야할 아이디어도 제시했다.
아시아문화전당은 근사했다. 그 유명한 구 전남도청을 전면에 두고, 새로 지은 건물은 뒤로 숨어든 모양새였다. 넓직하면서도 아늑한데다 사방으로 뚫인 모양새(물론 개관 하기 전이라 한 군데를 제외하곤 모두 막혀있다)가 좋았다. 이 좋은 공간을 어떻게 운영할지가 과제다. 그건 좋은 건축물보다 더 중요하다. 아시아문화전당의 모습과 앤더슨 기조강연 기사를 붙인다.
아시아문화전당의 전면으로 리모델링중인 구 전남도청(가장 위)과 내부 모습
근대의 산물인 민족주의는 21세기에도 주요한 화두다. 마크 리퍼트 주한 미 대사 습격사건도 한국 사회 내에 잠재한 극단적 민족주의의 발로라고 볼 수 있다.
민족주의 이론의 세계적 권위자 베네딕트 앤더슨 코넬대 명예교수(79)가 내한했다. 앤더슨은 대표작 <상상의 공동체>를 통해 민족 개념이 근대 자본주의 발전 과정에서 사실상 ‘발명’된 것이며, 이는 소설, 신문 등 문화적 매개에 의해 가능했다고 주장했다. 1983년 초판이 나온 이 책은 90년대 이후 동구 사회주의 블록의 해체와 함께 종족민족주의 국가가 부활하면서 더 큰 주목을 받았다. 앤더슨은 3일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 열린 ‘2015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비전포럼’ 기조연설을 통해 최근 아시아의 변화하고 있는 민족주의 양상에 대해 강연했다.
유럽에서는 19세기 후반~20세기 초반 제정 러시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등이 붕괴하면서 많은 민족 공화국들이 탄생했지만, 아시아는 여전히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 등 제국구의 국가의 식민 치하에 있었다. 양상은 일본이 등장하면서 바뀌기 시작했다. 일본은 벵골, 버마, 인도네시아 등에서 서양 제국주의 국가와 함께 싸울 청년을 모집했다. 일본으로부터 근대적 군사 훈련을 받은 이들은 일본이 패퇴한 이후에도 서양 제국주의 국가와 싸웠고, 끝내 독립을 쟁취했다. 버마의 아웅산, 인도네시아의 수하르토 등은 일본으로부터 훈련 받은 인물이었다.
그러나 이들이 권력을 잡은 후 부패한 독재자가 됐다는 사실은 아이러니다. 젊은 혁명가이자 군인이었던 이들은 곧 자신의 권위에 도전하는 젊은이들을 탄압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텔레비전 같은 대중매체, 징병제, 교육 등을 통해 권력의 기틀을 공고하게 다졌다.
베네딕트 앤더슨 /아시아문화전당 제공
앤더슨은 아시아와 타 지역의 차이도 지적한다. 가장 흥미로운 점은 남성중심적인 아시아 사회에서 유럽보다 앞서 여성 정치 지도자가 배출됐다는 사실이다. 근대 세계사 최초의 여성 총리인 시리마보 반다라나이케(스리랑카)를 비롯해 인디라 간디(인도), 베나지르 부토(파키스탄),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인도네시아), 글로리아 아로요(필리핀) 등이 그 사례다. 앤더슨은 “이러한 아시아적 패턴은 아메리카, 유럽, 아프리카나 중동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것”이라며 “그들 거의 모두가 부유한 대가족 출신으로서 대부분 폭력적인 종말을 맞은 통치자 남성들의 아내나 딸”이라고 밝혔다.
타 지역으로의 이주가 활발해지면서 민족 개념은 모호해지고 있다. 태국 인구 중 14%가 중국계이지만, 이들은 국회 의석의 75%를 차지하고 있다. 앤더슨은 이들이 성공적인 비즈니스를 위해 정계에 진출했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이들중 누구도 스스로 중국계임을 내세우지 않는다. 정치인들끼리는 정적을 반역자, 사기꾼, 부패한 사람으로 비판할지언정, 민족 정체성을 언급하지는 않는다. 그것은 일종의 금기에 가깝다.
2015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비전포럼에서는 앤더슨 외에도 강명구 서울대 교수, 조이스 류 대만국립교통대 교수 등이 아시아라는 지역의 경계와 지식의 확산에 대해 발제했다. 2005년 옛 전남도청 부지에 짓기 시작한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은 10년만인 올해 9월 정식 개관을 목표로 하고 있다.
'텍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이컨과의 대화, <나는 왜 정육점의 고기가 아닌가> (0) | 2015.04.13 |
---|---|
평화와 번영의 제국, <제국: 평천하의 논리> (1) | 2015.04.12 |
표현의 자유를 위한 여정 혹은 변명, <조지프 앤턴> (0) | 2015.04.01 |
독립출판, 왜 하나 (0) | 2015.03.27 |
알쏭달쏭 표절논란 (0) | 2015.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