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본

가해자에서 피해자로, <전후라는 이데올로기>의 고영란 인터뷰 (현실문화)는 혼란스럽다. 여러 분야에서 분명했던 사고의 경계선을 흐트러뜨리기 때문이다. 누가 억압했고 누가 억압당했는지, 누가 전쟁하자 했고 누가 평화를 주장했는지, 누가 친일파이고 누가 반일파였는지, 알 수가 없다. 저자인 고영란 니혼대 국문학과 교수(45)의 의도가 바로 그것이었다. e메일로 만난 그는 “역사는 이분법으로 나눌 수 있을만큼 간단 명료한 것이 아니다”라고 답했다. 는 일본의 근·현대를 관통하는 이데올로기, 집단기억의 프레임을 검토한다. 아시아의 제국주의 국가로서 이웃 나라들을 침범했던 일본은 미국의 점령기 동안 ‘평화로운 일본’, ‘약한 일본’, ‘피지배자’로서의 정체성을 만들어갔다. 이를 위해 20세기 초반 일본의 진보적 사상가, 문학자들의 글을 소환한 뒤 ‘세계 평화’의 표상으로 .. 더보기
모든 훌륭한 작가는 무언가와 싸운다, <도련님의 시대>와 <도련님> 나쓰메 소세키의 소설을 좋아했다. 한국의 지식인-소설가들이 "농촌 가서 계몽하자"는 소설을 쓰기도 전에, 사실상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 소설을 어떻게 쓸 수 있었단 말인가. 나쓰메 소세키의 나 의 모던함은 100년 전의 소설이라곤 믿을 수 없는 수준이었다. 아마 나쓰메 소세키는 조선의 소설가들처럼 나라를 잃어본 적도, 지독한 가난이나 큰 전쟁을 겪은 적도 없어서, 그렇게 물에 물탄 듯 밍밍하지만 그러나 그 물결의 무늬가 섬세하게 그려진 소설을 쓸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마음대로 짐작해 보았다. 그러나 나쓰메 소세키가 을 창작하는 과정을 그린 만화 (다니구치 지로 그림, 세키가와 나쓰오 글/세미콜론)를 읽고는 생각이 싹 바뀌었다. 나쓰메가 비록 지독한 전쟁, 가난을 겪은 적은 없지만, 그리고 그의 시대인 메.. 더보기
차가운 현대사의 뜨거운 재현, <일본의 검은 안개> 마쓰모토 세이초(1909~1992)의 상, 하권을 읽다. 마쓰모토는 일본에서 '사회파 추리소설'의 붐을 일으킨 작가라고 한다. 책날개에는 "트릭이나 범죄 자체에 매달리기보다는 범죄의 사회적 동기를 드러내서 인간성의 문제를 파고드는" 소설이라고 설명한다. (그러고 보면 내가 근 몇 년 사이 읽은 미야베 미유키나 히가시노 게이코 모두 사회파 추리소설 작가라고 할 수 있겠다. 내가 읽은 몇 안되는 사회파 추리소설중에는 미야베의 가 가장 좋았다) 마쓰모토는 찣어지게 가난한 삶을 살다가 41세에 작가로 데뷔해 이후 40년간 장편만 100편, 중단편을 합하면 1000편의 작품을 써냈다고 한다. 단행본으로는 700권에 이른다고 하니 어마어마한 양이다. 이 정도를 손으로 썼다면, 그 손은 분명 펜을 들기(혹은 끼우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