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훈의 신작 '공터에서'(해냄)를 읽다. 작가는 "이 작은 소설은 내 마음의 깊은 바닥에 들러붙어 있는 기억의 인상과 파편들을 엮은 글"이라며 "별것 아니라고 스스로 달래면서 모두 버리고 싶었지만 마침내 버려지지 않아서 연필을 뒤고 쓸 수밖에 없었다"고 후기에 썼다. 소설 주인공이라 할 수 있는 마차세의 삶은 실제 작가의 삶과 많은 부분 겹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마동수 일가 4인의 삶이 각 장마다 시점을 달리하며 제시돼있다. 일제강점기에 유년 시절을 보낸 마동수는 중국, 만주 등지를 떠돌다가 해방후 귀국했다. 피난지에서 만난 여인과 결혼해 마장세, 마차세 2남을 두었으나, 집에 발붙이지 못하고 세상을 떠돌았다. 간혹 집에 들어올 때 고등어나 쌀을 가져와 며칠 쉰 뒤 다시 사라지는 식이었다. 마동수의 아내 이도순은 함흥 철수 때 남편, 그가 안고 있던 젖먹이 딸과 헤어졌다. 피난지 부산에서 만난 마동수와 살림을 차렸으나, 전쟁이 끝난 뒤에도 이도순의 삶은 여전히 신산했다. 이도순의 말년은 요양원에서 기억하고 싶지 않은 기억들과 싸우면서 사그러졌다. 마장세는 월남전에 파병됐다가 현지에서 전역한 뒤 귀국하지 않고 미크로네시아 일대에서 고철 사업체를 차렸다. 서울에 며칠 돌아온다 해도 가족과는 거의 연락하지 않았다. 마차세는 형이나 아버지에 비해선 비교적 안정된 삶을 살았다. 전역후 복학하지 않고 바로 취직을 했으며, 미대를 나온 여성과 결혼했고, 병이 깊어가는 노부모를 돌봤다. 밥벌이가 끊긴 적도 있었지만, 그때는 아내가 학원 강사일을 해 돈을 벌었다. 마차세는 앞으로도 그렇게 한국의 가장으로 살아갈 것으로 추정된다. 여기에 마차세의 처 박상희의 이야기가 살짝 끼어든다.
'공터에서'를 "소설판 '국제시장'" 혹은 "거꾸로선 '국제시장'"이라고 하면 이상할까. 지근거리에서 보며 자랐지만 이해하기 힘들었던 아버지(세대), 그래도 마침내 아주 조금은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았던 아버지(세대)를 그리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국제시장'에서 코믹한 기운을 모조리 뺀 뒤, 김훈 특유의 비장미가 섞였다고 하겠다. 거기에 '국제시장'에 비해서는 아버지 세대와 조금 더 거리를 두려는 의식이 강하다고 하겠다. 한국에 돌아오지 않고 연고지 없는 열대의 섬을 떠도는 마장세처럼. 그러나 마장세조차 기이한 우연과 그 자신의 과오로 인해, 결국 한국땅으로 소환되고 만다. 우리는 아버지 세대, 우리가 발 딛고 선 문화적 터전, 과거로부터 온전히 놓여날 수는 없다고 결국 작가는 수긍하고 있다. 마차세에게 그런 인식을 심어주고, 평생 치러보지 않은 부모 제사를 치르게 하는 것은 그의 아내 박상희다. 소설에서 박상희는 이상적인 아내, 좀 더 과감히 말해 구원의 여신처럼 그려진다.
"세상은 무섭고, 달아날 수 없는 곳이었다"는 문장은 책 뒤 표지, 그리고 신문의 책 광고에도 나온다. 세상살이의 엄혹함, 밥벌이의 고단함은 김훈 소설의 주된 정조이기도 하다. '국제시장'을 봐도, '공터에서'를 읽어도 아버지 세대에게 그런 정조는 뿌리 깊은 것 같다. 광복 이전부터 전쟁 이후까지 마동수의 삶, 베트남전에 참전한 마장세의 삶이야 당연히 그렇다 하더라도, 경제성장기의 한국에서 결혼하고 아이낳고 살아간 마차세의 삶도 무척이나 고되다. 입사 3개월만에 문 닫은 경제잡지에서 나온 마차세는 수차례의 면접에서 떨어진 뒤 오토바이 수송일을 하는데, 육중한 트럭 사이, 여름철 녹아내려 달라붙는 아스팔트 자국을 끌며 배달을 하는 묘사가 그럴싸하다. 단지 나의 성장배경이나 현재의 생활환경은, 이렇게 고단한 삶의 묘사에 대해, 적자생존의 잔혹함을 다룬 잘찍은 자연 다큐멘터리를 보는 것 이상의 이입을 허락하진 않았다. 더 정확히 말하면 그러한 고단함을 강조하는 작가에게 더 가까이 다가서긴 어려웠다.
'텍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래 살자, 살아서 말하자, '눈먼 암살자' (0) | 2017.10.22 |
---|---|
기자와 작가, '헤밍웨이의 말' (0) | 2017.03.13 |
요점 정리의 대가, 유시민의 '국가란 무엇인가' (0) | 2017.02.19 |
채식이 아니라 소멸, 한강의 '채식주의자' (0) | 2017.02.01 |
공포와 센티멘털, 스티븐 킹의 '리바이벌' (0) | 2017.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