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미지

나와 너의 연결고리, '컨택트'


음...영화를 이렇게 만들어놓으면 차기작인 '블레이드 러너 2049'에 대한 기대치가 너무 높아진다는 단점이 생긴다. 



타자와의 접촉은 위협인 동시에 축복이다. ‘나’의 경계가 무너지는 동시, 그 경계가 확장되기 때문이다. 

2일 개봉한 SF영화 <컨택트>(원제 Arrival)는 세로로 선 거대한 조개 모양의 괴비행체(쉘)가 전세계 12개 지역에 동시에 나타나면서 시작된다. 쉘은 18시간마다 한 번씩 열리고, 각국의 과학자, 군인들은 이때 쉘 안으로 들어가 다리가 7개 달린 거대한 문어 모양의 외계인 헵타포드와 접촉한다. 언어학자 루이스(에이미 아담스)가 외계인의 언어를 알아내기 위해 나선다. 정부는 외계인이 왜 지구에 왔는지, 지구에 무엇을 줄 수 있는지 알아내려 한다. 하지만 외계인의 의도 파악이 늦어지면서, 인류는 점점 혼란에 빠진다. 

<컨택트>의 원작은 최근 가장 명망있는 SF 작가로 꼽히는 테드 창의 중편 <네 인생의 이야기>다. 테드 창은 지적이면서도 창의적인 소설들로 유명하다. 영화 역시 원작의 사색적인 분위기를 잘 살려냈다. 외계인과 지구인의 접촉에서 예상되는 영화 줄거리, 즉 지구 자원을 둘러싼 전투라든가 환상적인 모험은 찾기 어렵다. 영화 전반부는 루이스가 헵타포드의 음성·문자 언어를 알아내는 과정을 보여주는데 집중한다. 특히 뿌연 유리벽에 먹물을 원형으로 뿌린 듯한 헵타포드의 문자 언어는 요령부득이다. 헵타포드의 문자가 단지 이상한 모양을 갖고 있기 때문이 아니라, 헵타포드의 낯선 사유 방식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외국어에 몰입하면 사고의 방식도 그 언어를 따라 바뀐다”는 사피어·워프의 가설은 영화 후반부 중요한 반전을 예비한다. 




그러나 지성만으로 영화를 만들 순 없다. <컨택트>의 장점은 영화의 지적 논리들로 결국 감성을 자극한다는데 있다. 루이스는 헵타포드 언어의 비밀을 알아낸 후 큰 혼란에 빠진다. 이 언어는 인류의 사유 체계는 물론, 루이스의 삶조차 통째로 뒤바꿀 수 있는 힘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제 루이스의 삶은 이전과 같을 수 없다. 전통적인 인간의 감정으로 파악하면, 이는 커다란 행운일수도 불행일수도 있다. 루이스는 이 모든 감정과 사건들을 받아들인다. 그걸 ‘운명’이라 표현할 수도 있겠지만, 새로운 사유와 논리의 도래 앞에서 ‘운명’이란 전통적인 어휘는 어딘지 낯설다. 그저 기존의 루이스가 파괴되고 새로운 루이스가 태어났다고 말하는 편이 좋겠다. 

인간은 알지 못하는 것에 두려움을 느낀다. 광폭한 맹수나 자연 재해 아래 살아남으려 애쓰던 선사시대부터 그랬다. 새 사유 체계의 도래 앞에서 어떤 인간들은 어리석은 짓을 한다. 극중 중국 정부는 가장 먼저 외계인에 대한 공격을 결정한다. <컨택트> 후반부는 이 어리석은 결정을 막아내기 위한 루이스의 노력을 따라간다. 익숙하지만 낡은 사유를 고집할 것인가, 낯설지만 새로운 사유를 받아들일 것인가. <컨택트>는 그런 선택의 순간을 그리고 있다. 새로운 사유 체계의 가능성을 언급한다는 점에서 <컨택트>는 가족애라는 지극히 고전적인 감정을 그린 <인터스텔라>보다는, 미지의 세상에 대한 경외감을 그린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를 닮았다. 

에이미 아담스가 루이스 역을 맡아 거대한 경이를 차분하게 받아들이는 어려운 연기를 해냈다. 제레미 레너가 그를 돕는 물리학자 이안 역을 맡았다. <그을린 사랑>(2010), <시카리오: 암살자들의 도시>(2015)의 드니 빌뇌브 감독이 연출했다. 빌뇌브는 올 하반기 최고 기대작중 하나인 <블레이드 러너 2049>도 준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