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미지

새로운 볼거리, 오래된 주제, <인터스텔라>







**스포일러 있음. 



촬영장에서도 잠바데기 같은 건 입지 않으시는 젠틀맨, 크리스토퍼 놀란(왼쪽)


크리스토퍼 놀란의 <인터스텔라>를 보러 간 극장 옆에는 세계 최대의 스크린임을 입증하는 '기네스 레코드' 표시가 붙어있었다. 황폐하고 좁은 지구를 떠나 끝없이 넓은 우주를 탐험하는 영화이니 큰 스크린에서 보는 것도 좋겠지만, 난 이 영화의 주제가 매우 고전적이거나 보수적이거나 고루하다고 생각한다. 어느 형용사를 택할 지는 아직 결정 못했다. 


<인터스텔라>가 그리는 지구의 근미래는 그 어느 디스토피아 영화보다 디스토피아적이다. 차라리 혜성과 충돌하거나 외계인의 침략을 받거나 유전자 변형 괴물이 나타나거나 엄청난 독재 체제 아래서 신음하고 말지, 온 지구가 누런 먼지 구덩이 속에서 조금씩 목 마르고 굶주리고 헐벗어 죽어가는 모습은 끔찍하다. 미세 먼지를 연신 들이킨 사람들의 폐가 조금씩 나빠져 늘 기침을 해대는 광경도 참기 힘들다.


모든 인류가 농사를 짓느라 전력해 군대는 사라졌고, 대학은 거의 사라졌으며, 우주 개발은 당연히 하지 않는 시대. 전직 엔지니어이자 조종사였던 쿠퍼(매튜 매커너히)는 하기 싫은 농사를 짓고 있다. 그는 우연 혹은 초자연적 현상이 빚어낸 신호를 해독해 비밀리에 우주 탐험 프로젝트를 진행중인 나사 기지를 찾아낸다. 쿠퍼는 졸지에 나사로 계획의 일원으로 꼽힌다. 성경에 나오는 나사로는 죽었다가 살아난 인물이다. 나사 연구진들은 죽어가는 인류를 부활시킬 계획을 세우고 있었다. 과학자들은 토성 근처에서 누군가(외계인?) 만들어놓은 웜홀을 발견했다. 이 웜홀을 이용하면 지금까진 불가능했던 것으로 여겨지던 은하계간 우주여행을 할 수 있다. 이미 10명의 용감한 과학자들이 각기 우주선을 타고 선발대로 출발했다. 그들의 목적은 인류가 이주할만한 행성을 찾아서 지구에 보고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3곳의 행성에서 신호가 들어왔다. 쿠퍼와 그 팀의 임무는 이 세 행성을 찾아 그곳의 상태를 다시 확인하는 것이다. 여기서 플랜A와 플랜B가 있다. A는 적당한 행성을 찾아 전 인류를 그곳으로 이주시키는 것이다. B는 A가 여의치 않을 때 실행되는데, 수정란 형태로 보관중인 수백 명의 인류를 새 행성에 정착시키는 것이다. B가 실행된다는 의미는 지금 지구에 남은 인류는 그대로 죽는다는 뜻이다. 



숏커트도 어울리는 앤 헤서웨이(왼쪽). 근 몇 년 사이 갑자기 연기의 신이 된 매튜 매커너히.


지금까지 우주를 탐험, 여행하는 영화는 수없이 제작됐지만, <인터스텔라>는 미증유의 시각적 이미지를 몇 가지 보여준다. 구형으로 설정된 웜홀, 과학계 바깥의 사람으로서는 '검다'라는 인상밖에 없는 블랙홀 같은 것들이다. 스티븐 호킹의 머리 속에는 이런 곳의 모습이 막연하게나마 자리하고 있을지 모르겠지만, 대부분의 관객은 웜홀, 블랙홀의 생김새와 느낌을 상상조차 한 적이 없다. 월홈보다 블랙홀을 그려내기가 어려운 것인지, 쿠퍼와 그의 로봇 타스가 블랙홀을 지나는 대목은 시각보다는 관념을 자극하는 방향으로 연출됐다. 블랙홀에 들어간 쿠퍼는 우주선이 폭발 위기에 처하자 탈출하는데, 이후로는 시각보다는 쿠퍼의 거친 호흡 소리가 더 관객의 마음을 자극한다. 그래서인지 영화 종반부 장대한 관념의 세계로 본격 진입하는 스탠리 큐브릭의 <2001 스페이스 오딧세이>야말로 (많은 평자들이 지적하듯) <인터스텔라>의 할아버지 뻘쯤으로 보인다. 타스가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의 그 유명한 모노리스를 닮았다는 점도 우연은 아닌 듯하다. 


그러나 큐브릭의 인물들이 초인의 탄생, 진화의 새로운 시작, 인류의 기원, 테크놀로지의 위험 등을 말하기 위해 우주로 떠났다면, 놀란의 인물이 우주에서 발견하는 것은 자식 사랑이다. 쿠퍼는 인류를 구해야 한다는 사명감에 우주로 떠난 듯 보이지만, 그 사명감의 바탕에는 아직 어린 아들과 딸이 황페한 지구에서 죽어가고 있다는 인식이 깔려 있다. (쿠퍼에게 우주 탐험을 설득하는 브랜드 박사는 다음 세대, 즉 쿠퍼의 아들과 딸이 지구의 마지막 세대라는 점을 강조한다)  


이 영화의 핵심적인 갈등도 떠난 아버지와 그를 이해하지 못하는 딸 사이에 일어난다. 아버지는 딸을 살리기 위해 떠났지만, 딸은 아버지가 자신을 버리고 떠났다고 여긴다. 지구에선 우주로 메시지를 보내지만, 우주에선 답할 수 없다. 메시지를 보낸 자식들은 서서히 지쳐간다. 크리스토퍼 놀란은 몇 가지 트릭을 써서 애절함을 배가시킨다. 근처에 있는 블랙홀 때문에 시간의 흐름이 지구와 다른 행성이 탐험 초반부에 나온다. 이 행성의 1시간은 지구의 7년. 쿠퍼와 일행은 이곳에 착륙해 생존자의 신호를 찾는데, 몇 가지 사고가 겹쳐 예정보다 너무 많은 시간을 소비한다. 우주의 모선에 남아있던 일행은 그 사이 흰 수염이 날 정도로 늙어 있다. 지구 시간으로는 23년쯤 흘렀다는 말도 해준다. 부모와 자식이 생이별한 시간을 순식간에 수십 년으로 늘려 버린 셈이다. 그리고 이 시간은 나중에 쿠퍼가 블랙홀을 통과하면서 더욱 늘어난다. 


쿠퍼가 우주로 떠난 것은 자식사랑, 지구로 돌아오려 한 것도 자식사랑 때문이다. 어머니도 아닌 할머니처럼 늙어버린 딸과 쿠퍼가 재회하는 모습은 이상하면서도 울컥하다. <인터스텔라>가 하드SF의 상상력에 기반한 장대한 볼거리를 제공한다는 점은 분명하다. 169분이 어떻게 흘러갔는지 모를 정도로 긴박감 있게 연출됐다는 점도 사실이다. 그러나 이 영화가 사랑에 대한 새로운 시선을 제공하는 건 아니다.